티스토리 뷰


전통혼례란?

혼례란 혼인을 행할 때 수반되는 모든 의례와 그 절차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 때 혼인은 성인이된 남자와 여자 두사람이 각기 출생가족으로부터 분리가 되어 사회적. 문화적 상징 단계를 통과한 후 성적 및 경제적으로의 결합을 말하며 두 가족의 사회적 결합이라고도 한다. 전통혼례 또한 혼례의 절차로 옛부터 내려오던 혼례의 절차인 것이다. 혼례의 절차는 예서에서 말하는 것과는 실제 관행과는 차이가 있다. 예서의 혼례를 이상적인 모델이라 하면 실제 관행은 실제적인 모델인 것이다. 

전통혼례는 혼담에서부터 시작이 되어져 근친까지의 절차가 이루어 진다. 사주단자나 택일이나 혼서 등이 오가고 혼물의 기본인 현훈을 폐백으로 준비를 한다. 이 때 안방 조상신에 예를 표한다하여 예장으로 혼서화 현혼과 함께 반지와 시계, 만년필 등속을 예장함에 넣는다고 한다. 

혼례와 관련된 용어

의혼

의혼은 양가가 중매인을 통해서 상호의사를 조절하는 것을 시작으로 대례를 거행하기 이전까지의 절차를 말한다. 예서에서 말하고 있는 친영 이전의 절차가 여기에 포함이 된다. 실제 관행에서는 여기에 납채나 연길, 송복 등이 포함이 된다고 한다.


납채

예서에 의하면 납채란 양가가 중매인으로 하여금 내왕하게 해서 말을 통하도록 하고 여자쪽의 허락을 기다리고 신랑측의 혼주가 예서에 있는 서식을 따라 처음으로 신부집에 편지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서식에는 주소나 관직, 성명을 적으며 간단한 문구로 혼인을 하게 되어서 기쁘다는 것을 적는다. 양가가 중매인을 통해서 의사를 교환하고 난 뒤에 선을 보고 혼인을 결심하게 되면 처음 서신을 보내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사주이다. 사주를 받는 것은 오늘날로 말하면 약혼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혼인을 거절하려면 사주를 받지 말아야 되며 사주를 받은 뒤에 혼인을 거절하게 되면 이혼이 되는 것이다.

연길

사주를 받은 신부집에서는 신랑집으로 택일단자를 보내게 되는데 이것을 연길이라고 한다. 속칭으로 날받이라고도 한다. 택일단자는 전안할 날짜와 납폐할 날짜를 기입하는 단자로 따로따로 기입을 하기도 하지만 전안일시만 쓰고 납폐일시는 동일선행이라고 쓰는 경우도 있다. 격식을 따지는 집에서는 신랑과 신부가 보면 안 될 사람의 간지나 앉아서는 안 될 방위 등을 기입하기도 하며 중매인 또는 복이 많은 사람을 통해서 신랑집에 보내기도 한다. 

송복

신랑의 집에서 신부의 집으로 예물을 보내는 것을 말하며 이것을 봉치 또는 짐보내기라고 한다. 이것은 모든 지방에서 행하는 것이 아니며 일부 지방에서 행해진다고 한다. 예를 들어 전라도 지방을 보면 날을 정해서 신부의 옷감과 이불과 솜, 명주, 광목, 패물과 술과 떡을 싸서 한짐을 만들어서 이것을 모두 물목기에 적어서 신부집으로 보낸다. 이 날에는 신부집과 신랑집에서는 친척들이 모두 모여서 잔치를 한다고 한다.


납폐

납폐서와 폐백을 신부집으로 보내는 의식을 말하며 함 두개에 각각 납폐서와 납폐를 넣어서 신부집으로 보내면 신부집에서는 상 위에 그것을 받고 북향재배를 한다. 그리고 난 후 신랑집에 답서를 보낸다. 함에 넣는 물건으로는 지방과 사회계층 또는 빈부에 따라서 다르지만 신부의 상.하의 두벌과 패물, 혼서지는 반드시 넣는다고 한다. 이때 혼서지란 일종의 혼인문서인 것이다.

함은 흔히들 함진애비라고 해서 하인에게 짊어지게하거나 지방에 따라서는 첫 아들을 낳은 복많은 사람이 함진애비를 하기도 하는데 함은 초행 전날에 보내거나 초행의 전안의례를 올리기 전에 전한다고 한다. 함을 받을 때는 마루에 상을 놓고서 그 위에 홍보를 덮은 후 받기도 하지만 상 위에 시루를 놓고 그 위에 받아서 얹기도 한다. 이때 함을 받는 사람은 신부의 어머니가 되거나 복 많은 여자가 받는다고 한다. 함을 받고 바로 안방으로 가져가서 깔고 앉으면서 복 많이 들었네 하면서 함에 손을 넣어서 잡히는 옷감이 무슨 색이냐에 따라서 부부의 길흉을 점치기도 했다. 

대례

실제의 관행에서 의혼의 절차를 거쳐서 신랑이 신부집으로 가서 행해지는 모든 의례를 말한다. 초행과 전안지례. 교배지례. 합근지례. 신방과 동상례가 대례에 포함이 된다. 예서에서는 친영이라고 해서 신랑이 신부를 맞이해서 오는 모든 절차를 포함시키고 있고 실제 관행하고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신랑이 신부의 주인에게 기러기를 전하고 나면 신부와 함께 집으로 돌아오는데 신랑집에 도착한 신랑과 신부는 교배지례 또는 합근지례와 유사한 의례를 행하고 나서 신방을 차린다. 그리고 이튿날 아침이되면 신부는 시부모와 시조부모의 순으로 폐백을 드리고 집안 친척들에게 인사를 올린다. 

초행

신랑과 그 일행이 신부집으로 가는 것으로 초행걸음이라고도 한다. 이 때 신랑 외에 신랑 일행에는 상객과 후행이 포함이 되며 때로는 소동이라고 해서 어린이 2명이 끼기도 한다. 상객은 조부가 계시면 조부가 되지만 여의치 않으면 아버지나 백부 또는 장형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후행으로는 근친중에서 2~3명이 된다. 


전안지례

신랑이 신부의 혼주에게 기러기를 전하는 의례를 말하는 것으로 신랑이 신부집에 가서 처음으로 행하는 의례인 것이다. 이 때부터 의식의 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로워서 예절과 한문에 능한 노인으로 하여금 홀기를 불러달라고 부탁해서 의례를 진행한다고 한다. 이 전안지례를 하기 위해서 신부집에서는 미리 대문안에 적당한 곳에 멍석을 깔아놓고 병풍을 두른 앞에 작은 상을 놓고서 상 위에 홍보를 덮어 놓는데 이 상을 전안상이라고 한다. 

교배지례

교배지례란 신랑과 신부가 마주보고서 교배하는 의례를 말하며 전안지례가 끝이나면 신랑은 대례상 앞으로 안내되서 동쪽에 서게 된다. 이 때 신부가 원삼을 입고 손을 가린 한삼으로 얼굴을 가리고 수모의 부축을 받고서 마주서게 된다. 이렇게 신랑신부가 마주하게 되면 수모의 도움을 받아 신부가 재배를 하면 신랑은 답으로 일배를 한다. 두차례 진행이 되면 교배지례는 끝이난다. 

합근지례

신랑과 신부가 술잔을 서로 나누는 의식을 말하며 즉, 술을 교환해서 하나가 된다는 의식을 말한다. 교배지례가 끝난 후 수모가 상에 있는 표주박 잔에다가 술을 따라서 신부에게 주면은 약간 입에 대었다가 다시 받아서 신랑의 대반 즉 신랑의 곁에서 시중을 드는 사람에게 잔을 주고 신랑에게 주면 받아서 마신다. 또 답례로 대반이 다른 표주박에다가 술을 따라서 신랑에게 주면 신랑이 입을 대었다가 대반을 통해서 수모에게 건내주면 신부는 입에 대었다가 내려놓은데 이렇게 두어번 반복을 한 후 세번째 잔은 서로 교환을 해서 마신다. 그리고 난 후 안주를 들고서 합근지례를 마친다.


신방

이렇게 함근지례가 끝이나면 신랑과 신부는 각각 다른 방으로 들어가며 신랑은 사모관대를 벗고나서 신부집에서 새로 만든 도포나 두루마기로 바꿔 입는데 이것을 관대벗김 또는 관대벅금이라고 한다. 그리고 난 후 신랑과 상객이 큰상을 받는데 이 때에는 손을 대는 시늉만 하고 나서 상을 물리며 큰상의 음식은 광주리에 담아서 신랑집으로 보낸다. 보통 신부집의 안방을 신방으로 하거나 더 좋은 방이 있으면 그 방을 신방으로 하며 신랑이 먼저 방에 들어가 있으면 혼례복을 입은 신부가 들어가고 이어서 주안상이 들어가는데 주안상에는 술과 간단한 안주를 놓는다고 한다. 주안상의 술을 나눈 후 신랑이 신부의 족두리와 예복을 벗기는데 족두리는 반드시 신랑이 풀어주어야 된다고 한다. 이 때에 신방을 지킨다 또는 엿보기라고 해서 가까운 친척들이 신방의 창호지를 뚫어서 엿보며 촛불을 끄면 모두 물러난다고 한다. 이 때 촛불을 끌때에는 입으로 바람을 불어서 끄면 안되고 반드시 신랑이 옷깃으로 바람을 내서 꺼야되는데 그이유가 복이 나간다고 해서이다.

동상례

동상례는 점심 때를 전후로 하여 신부집의 젊은이들이 모여앉아서 신랑다루기를 하는 것인데 신랑에게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을 해서 그 답이 신통치 않으면 신랑의 다리를 끈으로 묶어서 힘센 사람이 일어서서 짊어지거나 대들보에 매서 발바닥을 방망이나 몽둥이로 치는 것이다. 이 때 신랑이 소리를 지르면 장모가 나와서 말린 후 음식대접을 한다. 그 외에도 후례와 우귀, 현구례, 근친이라는 용어가 있다.

현대의 혼례

우리나라에는 일제시대부터 신식결혼식이 유입되기 시작하였으며 이것은 전통적인 혼례를 구식혼례라고 하며 이와는 대비되는 결혼식이라고 한다. 신식혼례는 구식혼례보다 절차가 간소화가 되었으며 크게 다른 것은 식장과 복장이 달라졌다. 남자의 경우 사모관대가 아닌 양복을 입으며 신부의 경우에는 원삼족두리가 아닌 면사포를 쓰고 드레스를 입는다. 

현대의 결혼식은 결혼식장 앞에 신랑측과 신부측의 접수부가 따로 있으며 손님들은 축하금 또는 부조금을 접수부에 낸 후 식장에 들어간다. 그리고 정해진 시간이 되면 사회자의 진행에 따라서 주례가 단 앞에 스고 신랑 신부 순으로 입장을 하게 된다. 이렇게 결혼식이 끝이나면 바로 집으로 가는 것이 아닌 신혼여행을 다녀오게 되며 보통 3~4일동안 신혼여행을 다녀오고 돌아오면 신부집에서 하룻밤을 자고 신랑집으로 가서 폐백을 한다.


댓글